본문 바로가기

Oracle/Tip

DB 선택 접속(리눅스) .bash_profile 에 아래 내용을 자신의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붙여넣는다. echo "Choose ORACLE_SID (ORACLE Database Name)" echo echo "1: ORCL" echo "2: ORCL1" echo Choose Number : read insNumber case ${insNumber} in 1) export ORACLE_SID=orcl ;; 2) export ORACLE_SID=orcl1 ;; *) echo "Not Choosed ORACLE_SID" ;; esac echo echo ====================== echo ORACLE_SID=$ORACLE_SID echo ====================== echo #export ORACLE_SI.. 더보기
NLS_LANG 설정에 따른 메세지 출력 확인 시작->실행->regedit 창을 열어서 NLS_LANG 레지스트리값을 찾는다. 현재 KOREAN_KOREA.KO16MSWIN949 로 설정되어 있다. sqlplus 로 터미널에서 접속을 하면 한글 메시지가 보이게 된다. 이러한 한글 메세지가 영어로 표시되게 하고 싶으면 다음 같이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하면 된다. AMERICAN_AMERICA.KO16MSWIN949으로 변경하였다. 첫번째 AMERICAN 은 메세지 출력시 나타내는 문자를 지정하는것이고 두번째 AMERICA 는 시간,날짜,돈 등을 어느나라 형식에 맞추는지 지정하는것이다. 세번째 KO16MSWIN949는 Oracle 설치시 지정한 캐릭터셋이 되겠다. (데이터 저장형식) 위와같이 바꾼뒤 다시 접속을 하게되면 그림과 같이 날짜형식도 미국식으로 .. 더보기
TOP 절을 이용한 반복 처리 데이터 삭제(대용량 DB) 집합기반 반복처리 방식의 가장 기본적인 핵심은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른 DB성능이 저하되는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즉, 락이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짧게 가져가며 트랜잭션 로그가 꽉 차서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 하기 위한 방법 일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주로 사용된다. 주기적으로 배치를 실행하는 것도 이러한 문제를해결하기 위함이다. 우선 이해하기 쉽도록 테스트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20건 넣었다. SELECT * FROM TEST_01; COL1 COL2 ---- ---- 01 AA 02 AA 03 AA 04 AA 05 AA 06 AA 07 AA 08 AA 09 AA 10 AA 11 AA 12 AA 13 AA 14 AA 15 AA 16 AA 17 AA .. 더보기